|
 |
|
ⓒ 인터넷창녕신문 |
| 창녕군(군수 한정우)은 8일, 3년만에 국내에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여 정부가 감염병 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함에 따라 10일부터 메르스 비상대책본부를 구성·운영한다고 밝혔다. 메르스 비상대책본부는 장순천 부군수를 본부장으로 하여 감시 및 대응팀, 역학조사팀, 자료취합 및 관리팀, 물자 지원 및 홍보팀 등 4개 팀으로 구성되어 관내 메르스 의심환자 발생 시 환자 역학조사 및 접촉자 관리 등 신속한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실, 경상남도 메르스 대책 T/F팀과 24시간 비상연락 체계를 유지하고, 창녕군의사회·약사회·교육지원청·소방서 등 관내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의심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및 역학조사 지원, 군민에게 메르스 예방·홍보를 강화하는 등 민관합동체계를 구축했다.
메르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중증급성호흡기질환으로 2일 ~ 14일(평균 5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정확한 전파경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중동지역 여행 중 낙타 접촉, 낙타 생고기 및 생낙타유 섭취 또는 메르스 확진자와 직·간접 접촉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보고됐다. 메르스 예방 행동수칙으로 손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고, 중동지역 여행 시 낙타 부산물(낙타고기, 낙타유) 섭취를 삼가며 발열·호흡기 증상자와 접촉을 피해야 한다. 또한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방문을 자제하고, 호흡기 증상(발열, 기침, 콧물, 호흡곤란 등)이 있을 경우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창녕군 메르스 대책본부장은 “중동지역 여행 시 메르스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귀국 후 2주 이내 발열, 기침, 콧물, 호흡곤란 등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창녕군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신고할 것”을 당부했고, “메르스 예방과 확산방지에 총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메르스 예방 수칙 안내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