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8-12 14:46:55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깨침의 소리, “안녕, 자연의 창녕”

한삼윤 (주)창녕신문 자문위원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16일
선지식에 의하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말한다.

‘어둠(無明/미혹,어리석음)에서 어둠으로 가는 사람’, ‘어둠에서 밝음(明/지혜)으로 가는 사람’, ‘밝음에서 어둠으로 가는 사람’, ‘밝음에서 밝음으로 가는 사람’ 등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현재 처한 삶이 아니라 앞으로 지향해 갈 삶이 밝은 것이라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안녕, 자연의 창녕”
미래를 향해 나아갈 창녕군의 ‘도시 브랜드(Brand) 슬로건(Slogan)’이다.

자연의 대명사인 우포늪에서 야성의 내공을 쌓아가고 있는 따오기의 힘찬 날개 짓을 예상하며 창녕의 더 큰 번영과 행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의미 있는 구호라고 생각한다.

굴곡이 심한 변혁의 시대에, 단순 명쾌한 이 한 줄의 문구가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지명(地名)’은 그 지역의 특성과 애환이 담긴 하나의 ‘역사’이자 ‘문화’이다.
‘창녕(昌寧)’이란 지명은 고려시대(940년)이후 사용된 이름으로 그 속뜻을 되새겨 볼 때마다 긍지와 자부심을 느끼곤 한다..

창성할 ‘창(昌)’, 편안한 ‘녕(寧)’이다. ‘창성하고 편안한 고장’, 또는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소망 한다’는 의미를 함축 하고 있다.

‘창(昌)’자를 파자(破字)해 보면 해‘일(日)’자 밑에 가로‘왈(曰)’자이다. ‘해와 같은 밝음을 드러내서 ‘성대해진다’는 뜻이다. 사람들의 본성만큼 밝은 곳은 없다고 말한다.

‘밝음’이란 ‘미혹(어둠, 근심, 걱정)에서 벗어나 환하게 깨어나다’는 의미다.
천년동안 어두웠던 동굴도 한 줄기 빛으로 밝아진다. 밝음은 지혜이자 희망이다.



밝은 생각, 밝은 말, 밝은 행동을 하면 그렇게 하는 본인이 우선 밝고 행복할 것이고, 듣는 상대 또한 기분이 그만큼 밝아져 더불어 편안하고 행복해질 것이 자명하다.

‘안녕’은 ‘행복’의 또 다른 이름이다.
‘안녕’을 내세워 ‘창녕’을 오롯이 품고 있는 ‘자연’은 자애로운 어머니의 본성과 같다.

그래서 자연의 성품 속에 들어있는 온갖 이치[구중리(具衆理)]를 ‘근본원리’로 하여 만 가지 일을 ‘보편법칙’에 따라 두루 순조롭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다[응만사(應萬事)]

앞으로 도래할 제5차 산업혁명시대는 ‘정신문화’가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다. ‘문화’는 사람들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생각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그런 측면에서 ‘안녕’은 ‘문화의 과정이자 결론’이며 ‘자연’은 ‘문화의 바탕’이다.
특히 자연을 자양분으로 형성된 ‘창녕’은 문화의 실재‘임을 보여준다.

창녕의 3대 특징적인 자원은 ‘자연’, ‘온천’, ‘문화’이다.

‘자연’의 속성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근본 뿌리이자 근원적인 생명력으로서, 사람의 본성과 맞닿아 있다.

다양성을 자랑하는 우포늪(천연기념물 524호)과 사시사철 수려한 화왕산을 비롯하여 군젼역의 절반을 휘감아 돌며 풍요로움을 선사하는 낙동강(62㎞)은 창녕의 빼 놓을 수 없는 자연의 걸작들이다.

국내 최고를 자랑하는 국민관광지 부곡온천은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우뚝 설 수 있는 또다른 천혜의 자연자원이다.

‘문화’라는 축면에서 본다면 창녕은 일찍부터 ‘경남의 경주’로 일컬어져 왔다. 대내외에 걸쳐 우수한 유무형 문화유산들로 인해 창녕은 전국 군 단위 지자체 중 문화적 영토가 가장 넓은 곳이 아닌가 생각된다.

요즘 시대를 ‘글로벌(Global) 시대’ 내지 ‘지구촌 시대’라고 말한다.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오늘날 절실히 요청되는 것은 한 쪽이 막혀있는 어두운 ‘동굴식 사고’가 아니라, 양 방향이 시원하게 뚫려 있는 밝은 ‘터널식 사고’이다.

바닷물에 뚜껑이 닫힌 채로 물이 가득 찬 물병을 집어넣으면 그 물병 안에 든 물은 외부와의 소통이 되지 않아 얼마간 지나다 보면 썩어버린다. 반면 뚜껑이 열린 물병의 물은 바다(자연성/본성)와 하나가 되어 영원히 죽지 않는 바닷물로 거듭 날 수 있다..

“모든 괴로움(苦痛)은 분리(分離)로부터 시작 된다. ‘분리’는 ‘나’와 ‘나 아닌 것’을 분별하는 ‘어리석은 생각(無明)’에서 비롯되며, 이는 뚜껑을 닫아버린 물병에 비유할 수 있다.

사람이 태어날 떼 태아가 모체로부터 ‘분리’될 때 울음을 터뜨리며, ‘죽음’ 또한 삶에서 ‘분리’ 된다는 ‘어리석은 생각(無明)’에서 괴로움이 따른다.

어둠속 깊은 잠에 빠져있는 사람이 꿈속에서 사나운 호랑이를 만나 괴로워하고 있을 때, 주위의 잠들지 않는 사람이 흔들어서 꿈에서 깨어난다면, 그것이 바로 괴로움으로 부터 벗어나는 ‘밝음’의 지혜가 아니겠는가!

조선시대 최고의 의학서라고 할 수 있는 동의보감의 핵심은 “통즉불통(通卽不痛) 불통즉통(不通卽痛)”이라고 말한다. “통하면 아프지 않고 통하지 않으면 아프다”는 뜻이다.
‘닫힘(어둠)’에서 ‘열림(밝음)’으로 가는 소통의 지혜를 우리에게 알려 준다.

성현들의 가르침은 한 결 같이 자연의 속성이 사람들의 본성과 연결돼 있다고 말한다.
본성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것은 밝고 맑은 양심(良心 : 仁/義/禮.智)이다.

양심은 내 것 챙기기에 급급한 사사롭고 어두운 욕심의 울타리를 걷어냈을 때 드러나는 지혜의 밝은 마음이다.

어리석은 욕심을 내려놓고 양심과의 소통이 원활해 질 때 사회는 한 결 밝아질 것이다.
자연(본성)의 생명력인 양심이 빛 바래져가는 현실에서, 이를 회복하여 자연과 하나가 되는 그 날,, 창녕의 미래는 번영과 행복을 구가하며 세세 창창 빛날 것이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16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창녕행정동우회 교동, 송현 고분에서 환경정화 운동..
창녕행정동우회(회장 모이호)는 지난 7월 14일 11시 ..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 농지은행사업 예산‘126억원’확보..
○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지사장 유민종)는 25년 농지..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군, 2025년 햇마늘 경매시작..
성낙인 창녕군수가 지난 1일 2025년산 햇마늘 경매가 .. 
민주평통 창녕군협의회, 2025년 2분기 민주평통 정기회의 개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창녕군협의회(회장 박해정)는 지난 5.. 
홍성두 창녕군의회 의장,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
창녕군의회는 홍성두 의장이 인구감소 및 저출산·고령화 문.. 
<속보>한정우 전 창녕군수、뇌물수수 사건 ‘무죄’..
모래채취업자로부터 속칭 ‘부동산매매를 가장한 뇌물수수’ ..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칼럼/기고
[한삼윤칼럼]길 위의 인문학, 사람과 사랑을 배우는 시간..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어느 날 문득, 책장을 넘기다 이런 질문을..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9..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범죄는 유인책, 관리책, 현금수거책, .. 
[한삼윤칼럼]나누고, 받들고, 누리는 삶 –아름다움의 세 겹 결..
-창녕문화원장 한삼윤-나누고 받들고 누리는 아름다운 삶. 창녕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8..
형법 제337조는 강도상해죄의 법정형을 “무기 또는 7년 이상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7..
국제결혼과 국제이주의 증가로 인해 부부 갈등이 국경을 넘는 형태.. 
[한삼윤칼럼]‘오래된 미래’/ 멈춤 속에서 길을 찾다..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6..
돈을 빌려주었는데 상대방이 갚지 않는다거나, 계약을 체결하고도 .. 
[한삼윤칼럼] 네 덕분, 내 때문..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살다 보면, 마음을 건드리는 말 한 .. 
파크골프(Park Golf) 예찬(禮讚)/ 光風瞬天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파크골프는 공원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 스포츠다.. 
(화왕산 메아리 106)미국 뉴욕의 중앙공원 센트럴파크(Central Park)..
이산화탄소(C02) 등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위기 시대에 2050.. 
[박대겸 칼럼]창녕, 다시 시작되는 시간 세 개의 왕관을 쓴 도시, 왜 침묵하고 있는가..
창녕은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우포늪의 생물권 보전지역, 화왕산성..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5..
.... 
[박대겸칼럼]˝눈과 귀를 닫은 권력, 침묵을 강요받는 고향˝..
제20회 낙동강 유채축제를 마무리하고, 최종 평가회까지 무사히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4..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표현은 이제 우리에게 익숙하다. 다만, 구.. 
[창녕문화원장 한삼윤]‘만큼철학’ / 숨은 만큼 드러나는 삶..
우리는 흔히 인생을 거창하게 정의하려하지만, 실은 아주 단순하고..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