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서창호칼럼]광복(光復) 79주년을 맞이한 지금 자유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 입력 : 2024년 08월 19일
|
 |
|
ⓒ 인터넷창녕신문 |
|
2024년 갑진년(甲辰年) 8월 15일 제국주의 일본에게 빼앗긴 국권을 회복한지 79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어느 순간 찾아온 해방(解放)과 광복(光復)은 강대국들의 정치적 논리와 이해관계에 따라 자력(自力)으로 국권을 회복하지 못한 약소국의 현실로 나타나 한반도 분단이라는 상처를 남기면서 우여곡절 끝에 1948년 8월 15일 ‘자유민주주체제’라는 소중한 이념의 이승만 정부 대한민국이 건국되었다.
제국주의 일본에게 주권을 넘겨 민족을 배신한 친일파들은 일제(일본제국주의)치하 36년 동안 그들로부터 온갖 혜택과 부귀영화를 누렸으며 해방 후 또 다시 역사적 심판과 단죄는커녕 이승만 정권에 무임승차하고 요직에 등용되어 해방된 조국의 역사를 되돌려 스스로 식민지에서 벗어나지 못한 약소국의 아픔으로 남았다.
강대국들에 의해 분단의 역사를 가진 대한민국은 현재도 이념적 갈등의 국론 분열이 조장(助長)되는 근원(根源)은 식민지 시절 일부 독립운동가들이 마르크스 철학에 현혹된 아나키즘(Anarchism)신봉자로 물들어 해방된 조국에 민족을 배신한 사회주의 공산주의자로 변신하여 선량한 국민을 선동하고 사회를 혼란하게 만들어 자유민주주의 이념이나 공산주의 사상이 뭔지도 몰랐던 무지한 백성들을 이념의 갈등 속으로 끌어들여 희생양으로 삼은 사건은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광복(光復) 79년이 지난 지금 이념적 논쟁을 정쟁으로 몰아 자유민주주의체제를 흔들고 있는 자들은 자유 대한민국 발전에 걸림돌인 그들이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의 ‘유기적 지식인’을 교묘하게 악용하여 특정사회 계급(정치인, 종교지도자, 학자 등)에서 활동하며 그들만이 아닌 사회전체의 이익으로 포장하고 미화하여 그들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자유 민주주의체제 대한민국 발전을 발목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광복(光復) 79년을 맞이한 대한민국 정치권이 자유 민주주의체제의 국론을 결집하는 역할을 與 野 정치권이 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어쩌면 해방 정국의 이념적 갈등이 재현된 79년이 지난 지금 논란을 일으키며 진실의 역사를 외면한 채 감성적인 거짓 역사로 국민을 속이고 있는 광복회장은 ‘역사란 무엇인가(에드워드 카)’라는 책을 반드시 읽어 보기를 바라며 왜 몽니를 부리고 있는지 스스로 부끄러워해야 할 것이다. 해방과 광복 79년이 지난 지금 잘못된 역사관을 지닌 그들이 우리 사회를 어디로 끌고 가려 하는지 참으로 우려스럽고 걱정된다.
국민이 동의하지 못하는 이념적 이데올로기를 추종하는 자들과 포퓰리즘 정책을 남발하는 정치권을 동의하지 못하는 국민을 향해 무서운 발톱을 숨긴 채 선동하여 동조를 이끌어 내어 우리 사회에 갈등을 부추기는 그들의 선동에 부화뇌동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유 민주주의가 다양성을 인정하지만 왜곡된 다양성에 편승하여 어설픈 이념이 개입되면 사회적 안정을 위태롭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위정자들이 깨달아야 할 것이고 성조기 아래 민족주의적 성향마저 띤 국론으로 하나로 결집되듯 대한민국도 태극기 아래 국가 발전이라는 대명분에 국론을 결집해야 한다.
자유 대한민국이 이념적 갈등을 극복하고 정치권이 민심을 따르는 세계 속 정치·경제·문화의 글로벌 중추국가로 자유 대한민국을 더욱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  입력 : 2024년 08월 19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제/사회
칼럼/기고
|
|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 천요강을 준 수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