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7-26 10:44:5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따오기 복원 최종 목표는 야생방사 성공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7년 06월 28일
ⓒ 창녕신문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 ? 는 따옥 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 ? 리 옛날 풍금 소리에 맞추어 동요의 노랫말에 오를
정도로 흔한 철새였던 따오기는 1979년 경기도 판문점 부근의 대성동
비무장 지대에서 한 마리가 관찰되었으나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1968년 5월 30일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된 따오기는
황새목 저어새과이며, 영명은 Crested Ibis 학명은 Nipponia
nippon이며, 몸길이 약75cm, 날개길이 38cm ∼ 44cm, 부리길이
16cm∼21cm이며, 전체적인 몸색깔은 흰색이고 머리 뒤쪽에 벼슬깃이 있고
얼굴과 다리는 붉은색으로 봄 번식기에는 벼슬깃 목 꼬리 등이 짙은
회색을 띠고 있다.

 한국의 따오기 복원은 환경부와, 경남도, 창녕군이 함께 노력한 결과
2008년 8월 25일 후진타오 중국주석 방한 시 이명박 대통령과
따오기 기증 협약을 체결하였으며,

람사르 총회에 즈음하여 2008년 10월 17일 중국 양현의 복원센터에서
따오기 수컷 양저우, 암컷 롱팅 한쌍이 국빈 대접을 받으며 창녕군
우포늪 복원센터에 둥지를 틀고 최초로 입식 되었다.

 이후 AI사태 등 온갖 어려움을 극복하여 인공 사육에 성공하여
2009년 따루, 다미 암컷 2마리 번식에 이어서 2010년 수컷 다소미,
암컷 포롱이 한쌍 추가 번식에 성공하는 등 2017년 6월 현재
성조 171 마리와 올해 부화된 유조 142 마리를 포함하여
총 313 마리가 순조롭게 증식되고 있으니 고무적이다.

 필자는 2011년부터 1년 6개월간 우포늪관리사업소장으로 근무했을 때
중국 양현과 일본 사도섬의 따오기 복원센터를 방문한 바 있다.

 따오기 복원의 최종 목표는 자연으로 되돌려 보내는 야생방사에 있다.
중국과 일본은 이미 야생 방사에 성공하였으며,

창녕군도 야생방사를 위하여 관계 공무원과 지역주민,
따오기복원후원회를 비롯한 환경단체의 협조로 관련 절차 이행을
착착 해나가고 있다.   

  우포늪 주변에 야생 방사된 따오기가 자연환경에 적응하여
생존해 나가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의 성공 사례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등 앞으로 넘어야 할 과제가 산 넘어 산이다.

먼저 우포늪 주변 10㎞ 이내 친환경 농사를 정착시키고 비오톱 조성으로
안정적인 먹이 공급은 물론 안전하게 밤을 지낼 수 있도록 소나무와 상수리 나무에 대한 영소지 관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인공게이지 야생방사 적응훈련을 실시함과 동시에 방사 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모니터링에 필요한 관찰장비 구입 및 자원봉사자
모집과 훈련은 물론 유전자 연구 협력체계 구축도 절실하다.

그리고 따오기복원 10년차를 맞아 313마리의 따오기 사육에 따른
관련 시설 운영비와 2018년 봄 우포늪 야생방사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예산과 인력확충 등에 경남도와 환경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조가
있어야 청정의 바로미터인 따오기가 우리 땅에서 멸종된 지 40년만에
야생방사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창녕읍장 성 낙 인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7년 06월 28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 농지은행사업 예산‘126억원’확보..
○ 한국농어촌공사 창녕지사(지사장 유민종)는 25년 농지..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군, 2025년 햇마늘 경매시작..
성낙인 창녕군수가 지난 1일 2025년산 햇마늘 경매가 .. 
민주평통 창녕군협의회, 2025년 2분기 민주평통 정기회의 개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창녕군협의회(회장 박해정)는 지난 5.. 
홍성두 창녕군의회 의장,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
창녕군의회는 홍성두 의장이 인구감소 및 저출산·고령화 문.. 
<속보>한정우 전 창녕군수、뇌물수수 사건 ‘무죄’..
모래채취업자로부터 속칭 ‘부동산매매를 가장한 뇌물수수’ ..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칼럼/기고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7..
국제결혼과 국제이주의 증가로 인해 부부 갈등이 국경을 넘는 형태.. 
[한삼윤칼럼]‘오래된 미래’/ 멈춤 속에서 길을 찾다..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6..
돈을 빌려주었는데 상대방이 갚지 않는다거나, 계약을 체결하고도 .. 
[한삼윤칼럼] 네 덕분, 내 때문..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살다 보면, 마음을 건드리는 말 한 .. 
파크골프(Park Golf) 예찬(禮讚)/ 光風瞬天 -창녕문화원장 한삼윤-..
파크골프는 공원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 스포츠다.. 
(화왕산 메아리 106)미국 뉴욕의 중앙공원 센트럴파크(Central Park)..
이산화탄소(C02) 등 온실가스에 의한 기후위기 시대에 2050.. 
[박대겸 칼럼]창녕, 다시 시작되는 시간 세 개의 왕관을 쓴 도시, 왜 침묵하고 있는가..
창녕은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우포늪의 생물권 보전지역, 화왕산성..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5..
.... 
[박대겸칼럼]˝눈과 귀를 닫은 권력, 침묵을 강요받는 고향˝..
제20회 낙동강 유채축제를 마무리하고, 최종 평가회까지 무사히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4..
직장 내 괴롭힘이라는 표현은 이제 우리에게 익숙하다. 다만, 구.. 
[창녕문화원장 한삼윤]‘만큼철학’ / 숨은 만큼 드러나는 삶..
우리는 흔히 인생을 거창하게 정의하려하지만, 실은 아주 단순하고.. 
[박대겸칼럼]지역 축제의 어려움과 해결책 제20회 낙동강 유채축제를 중심으로,....
제20회 낙동강 유채축제는 희망과 아쉬움이 공존한 축제였습니다...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3..
금전 대여는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 금전을 빌리고 ..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