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20:21:24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화왕산 메아리(75) - 비트코인(bitcoin) 狂風

(윤수근 논설주간)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8년 02월 20일
ⓒ 인터넷창녕신문
최근 연일 뉴스로 등장하는 가상화폐(암호화폐, 전자화폐)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블록체인(BlockChain : 공공 거래 장부) 기술의 산물이다.
금융위원회’가 공개형(퍼블릭) 블록체인과 가상화폐를 분리할 수 없다고 인정하고 세계적 추세에 접근하겠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술은 금융 결제나 송금, 본인인증 등 일상생활에 파급력이 확산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2016 다보스 포럼)’은 제4차 산업혁명을 이끌 7대 기반기술 중의 하나로서 블록체인을 선정하고 2017년까지 세계은행의 80%가 블록체인을 이용한 장부 시스템을 개발할 것이고, 미국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보고서(2018.2)’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그 자체로서 자산 가치가 주목받게 되고 시간이 흐르면 가상화폐는 금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고 ‘2011년 유엔보고서’는 가상화폐가 2024년에 세계 통일 화폐가 될 것이라고 예고하였다.
‘김용 세계은행 총재’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다단계 금융사기라고 규정하였고,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가상화폐 대부분 가격이 제로(0)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한국은 노동인구의 7%인 약 200만명이 가상화폐에 투자(77조원)하고 있고, 전체 가상화폐 규모의 약 14%를 차지한다. 고 하였다.
캐나다는 비트코인 인출기가 등장하였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은 현금 대용 결제화하여 통용하고 있다. ‘2016 중국 블록체인 산업발전 백서’에 의하면 블록체인 관련 기업이 미국 (334개사) 다음으로 중국(105개사)이 세계 2위라고 하였다. 사실 중국은 가상화폐 투기는 규제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은 지원하여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작과 함께 등장한 비트코인(bitcoin)은 비트(bit)와 동전(coin)을 합친 용어로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 라는 가명의 프로그래머가 달러?엔?유로화와 같은 실물화폐를 대체할 새로운 화폐를 만들겠다는 발상에서 시작됐다. 비트코인이 등장한지 6년 만에 130여 국가가 사용하며 특히 2030 젊은 세대가 열광하며 내재 가치와 성장 잠재력 중심의 장기 투자가 아닌 투기 광풍이 불고 있어 정부가 가상화폐 거래 실명제 도입(1.30)과 자금세탁?과세 등 안정화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
가상화폐 비트코인(bitcoin)을 취득하는 방법은 거래소에서 돈을 주고 환전(구매)하는 방법과 암호화된 수학 알고리즘을 풀어서 받는(채굴) 방법이 있다. 모든 비트코인 거래 내역이 기록된 공공 거래 장부를 '블록체인(Block Chain)'이라 한다. 비트코인이 2009년에서 2040년까지 2,100만개 발행되게 설계되어 현재 1,680만개(80%)가 채굴되어 유통되고 있다.
2009년 비트코인 발행 이후 이더리움, 리플, 라이트코인, 대시, 모네로, 퀀덤 등 다양한 알트코인(비트코인이 아닌 코인) 1,000여종이 생겨났고 현재 500여종이 거래되고 있다
가상화폐는 실물이 없고,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화폐를 뜻한다. 가상화폐 또는 디지털 화폐로도 불리지만 블록체인의 암호화 기술을 사용했기 때문에 ‘암호화 화폐(Crypto-currency)’라고 부르는 것이 개념적으로 맞다.
비트코인은 여러 알트코인들 사이에서 일종의 기축통화 역할을 하고 있다. 2009년 개당 1원에 불과한 비트코인이 현재 1-2천만원 대에 거래되어 있어 거품과 내재가치 등 미래 등락 논쟁이 매우 치열하다.
가상화폐 거래소(업비드, 빗썸, 코인원, 코빗 등)의 영업시간은 365일 24시간 휴일 없이 거래가 진행되고, 가격 등락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잘 못 투자하면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카카오, 넥슨, 네이버 등은 국내 규제를 피해 암호화폐 쇼핑몰, 결제시스템 개발 등 해외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브록 피어스(Brock Pierce·38)’ 비트코인 재단 회장은 블록체인이 5년 내 인터넷을 대체하는 핵심 산업으로 발전하며 IT 강국인 한국은 1천년 내 가장 혁명적 기술의 주도권을 쥐고 있어 정부가 거래소 폐쇄 등 진로를 막을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지원 육성해야 할 것이라. 고 조언하였다.
아직 정론이 확정되지 않은 가상화폐(암호화폐)의 광풍이 4차 산업혁명의 블록체인 기술을 선도하며 새로운 산업화로 안착되어 청년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해야 할 때이다.
(윤수근 논설주간)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8년 02월 20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