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20:32:17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한정우의 우문현답:우리들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

어머니의 손
한정우(창녕행정발전위원회 위원장. 법무사)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8년 03월 16일
ⓒ 인터넷창녕신문
지난 주 창녕과 화왕산에 쌓인 눈으로 봄이 조금은 멀어 보이지만 장터와 개울가, 따사로운 언덕 주변에는 갖가지 초록의 새싹이 꿈틀거리고 있다. 즐거운 색채를 지닌 초봄의 꽃들이 남지 유채꽃 축제단지와 우포, 그리고 창녕군, 읍면 곳곳을 뒤덮을 것이다. 부지런히 다음 추수를 벌써 준비해두신 창녕의 농민 분들과 생업, 학업에 종사하시는 창녕군의 모든 분들의 건승을 빕니다. 올봄에 좋은 일들만 있으시길 바랍니다.
즐거운 기억이 가득한 창녕 곳곳을 돌아다니며 길에서 만나 뵙는 분들께 인사를 드리고 악수를 청한다. 한사코 손을 주시기를 망설여하시는 할머님께 왜 그러시는지 여쭈었더니 거친 손이 못생겨 부끄럽다고 하셨다. 저도 잘생긴 손은 못 됩니다 라며 손을 청해 잡았더니 무거운 굳은살로 찬 삶의 무게가 손으로 전해 느껴지는 것 같았다. 남은 하루 동안 광주리에 가져오신 거 다 파시고 가벼운 발걸음으로 집에 들어가시라 말씀을 올리고 돌아서는 발걸음이 참 무거웠다. 그리고 언젠가 어린 필자의 머리 가르마를 넘겨주시던 지금은 돌아가신 어머니의 그 딱딱하고 거친 손이 생각이 났다.

가족을 부양하셨던 어머니의 손

필자의 어머니께서는 꽃다운 나이에 가난한 농부의 색시로 시집을 오신 이후로 더 일어서기 힘드신 나이까지 줄곧 장마면 산지마을에서 농사를 지으셨다. 자기 땅이 없는 남편의 가난한 상황에도 불만 하나 없이 몇 마지기씩 빌린 땅을 열심히 일구셨고 추수 이후엔 소작료를 떼어 갚으셨다. 일손이 부족한 농번기에는 새벽부터 아들·딸들을 깨우시며 오늘은 더 열심히 일하라고 꽁보리밥에 총각김치를 내어주셨다. 형들이 아직 더 자겠다고 대꾸라도 할 때면 불평이 많은 사람은 못쓰는 법이라며 엉덩이를 때리시며 동생들 본받도록 더 부지런히 일하라고 채근하셨다.
일을 참 잘하시던 어머니의 손이었다. 한 곳 비어있지 않게 모를 옮겨 심으셨고 형제들이 놓치고 간 잡초들을 놓치지 않고 뽑으셨다. 그러면서도 새참은 참 맛있었다. 땀을 뻘뻘 흘려가며 일하고 먹는 어떤 새참이 맛없겠냐마는 없는 살림에도 차려놓은 어머니의 손맛을 가족들은 정말 좋아했다. 필자도 고등학교까지 잡곡밥에 김치하나였던 어머니의 도시락이 늘 기다려졌었다.

고단한 삶에도 가족을 지킨 어머니

장날이면 전날 뜯어놓은 나물들과 참깨 고추등을 광주리에 담아 남지장이나 영산장으로 먼 길을 나서시던 어머니였다. 필자는 여동생의 손을 잡고 어머니가 집으로 오시는 길의 가장자리에 앉아 해가 지도록 어머니를 함께 기다렸다. 아침에 광주리에 담겨졌던 나물,양념류들이 모두 비어있길 바라면서, 또 대신 그 광주리의 빈자리를 아들과 딸들이 먹을 뻥튀기와 십리과자가 채워있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어머니의 모습이 보일 때면 힘껏 달려가 어머니의 품에 안겼다. 생각해보면 그렇게 기다린 뻥튀기와 십리과자였지만 어머니께서 사오지 않으셔도 좋았다.
언젠가 어머니를 도우려 함께 나간 장은 참 힘들고 고단한 곳이었다. 시장의 통로 좋은 목을 잡기 위해 새벽같이 나갔고 종일 고개를 들고 손님을 맞았다. 물건이 팔리지 않는 설움을 자식에게 들키지 않으려 눈을 마주치지 않으시려던 어머니셨다. 조금 더 비싼 값에 많이 사주는 손님께는 신이 나 고개 숙여 인사를 드렸고 어머니를 안아드렸다.

창녕의 모든 어머니의 손을 사랑합니다

최근 남지장의 노상에서 나물을 파시던 할머님의 손을 보고 든 생각이 종일 머리를 떠나지 않는 하루였다. 필자가 기억하는 어머니의 손은 필자만의 기억은 아닐 것이다. 필자보다 더 어린 세대가 기억하는 어머니의 손이기도 하고 지금 어머니의 손을 잡고 학교에 등교하는 어린 학생들에게도 다름없는 손일 것이다. 어머니의 굵고 거친 손은 힘들고 고단한 시간을 보냈음을 말해준다. 시집올 때 섬섬옥수 고왔을 아가씨의 손이 가족을 부양한다는 외롭고 힘든 자리에서 아픔과 설움, 가족의 행복과 희망이 더해져 굳은 살이 되었을 것이다. 결코 쓰러지지 않고 가장 단단한 둥치로 아들 딸들을 지켰을 창녕의 모든 분들의 손을 사랑한다. 이 글을 읽는 창녕의 모든 분들과 출향 인사분들께도 어머니의 손이 생각나는 하루가 되길 바란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18년 03월 16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