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3-22 06:34:4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화왕산 메아리 102) 農業은 生命産業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4년 06월 12일
ⓒ 인터넷창녕신문



윤봉길(尹奉吉:1908-1932) 義士는 100년 전 농민독본(農民讀本)에서 ‘자국민의 먹거리를 자급 생산하지 못하면 우리의 주식은 외국인 손에 넘어 간다.’고 예언하며 생명창고(生命倉庫)를 지키자고 강조하였다.
필자는 1960년대 국민(초등)학교 시절 미국의 원조곡물인 옥수수 빵과 죽을 학교 급식소에서 배식 받아먹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현재 세계 230여국 80억명의 인구 중 8억명이 식량 부족으로 굶주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49.3%)은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의하면 곡물자급률이 캐나다 180%, 미국 120%, 중국 91%, 일본 27.3%. 한국 19.3%이다. (고구마·감자 105%, 쌀 98%, 보리 38.2%, 옥수수 3.6%, 밀 1.3%이고,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50%, 목재 자급율도 15% 수준이다.)
농업은 생명산업이자 생명창고이고 농민은 식량 생산의 주역인 애국자이다.
三農(農業, 農村, 農民)이 부흥하지 못하고 소멸하면 곧 국가 상실로 연결된다. 5-60년대 草根木皮와 보릿고개를 극복하고 현재 쌀의 소비가 감소하여 저장 창고가 넘치지만 식량 안보는 매우 중요하다. 선진국은 식량자급률 50% 이상을 법제화하는 농업기본법, 식량안보 보장법 등으로 식량 무기화에 대비한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있다.
대한민국 농업의 아버지인 우장춘(禹長春:1898.4.8.∼1959.8.10.)박사는 일본 도쿄에서 출생한 농생물과학자, 식물학자, 원예육종학자이다. 1945년 8.15 광복이후 일본에서 한국으로 건너왔으며, 아버지(우범선)가 훈련대대장을 역임하던 중 일본인 자객들과 함께 공모하여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가담되어 살해당하고 일본인 어머니가 장남인 우장춘 형제를 보육원을 거쳐 사찰에서 지내다가 어머니 품에서 아버지의 죄책감을 안고 성장하며 언젠가 한국에서 속죄하며 헌신 봉사하기로 결심하였다.
1916년 4월 동경제국대학 농학과에 입학하여 우등생으로 졸업하고 농림성 농사시험장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던 중 1936년 5월 4일 모교에서 ‘종(種)의 합성’ 이라는 논문으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9년에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창설한 이승만 정부는 우장춘박사에게 연구소의 운영을 부탁했고, 그는 1950년 3월 8일 대한민국에 귀국했다.
우장춘은 처·자식을 일본에 남겨두고 모친상을 당했으나 출국하지 못하고 원예시험장의 강당에서 어머니의 위령제를 지냈으며, 그 당시에 전국 각지에서 보내온 조의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원예시험장에 물이 부족했던 탓에 '자유천'이라는 우물을 파서 농업 연구에 활용하였다.
채소종자의 육종합성에 성공하고 벼의 수도이기작(水稻二期作)을 연구하였으며, 1935년 ‘배추 속 식물에 관한 게놈분석’ 이란 박사학위 논문을 통해 ‘종의 합성 이론’을 제시하였고, 씨 없는 수박을 국내에 첫 도입하였다.
우장춘박사는 이승만 대통령의 농림부장관 임명도 사양하고 벼와 감자, 배추, 무, 감귤 등 종자개량 연구에 몰입하였다. 1958년 농림부 농사원 원예시험장 대표 수장이 되고, 사망 직전인 1959년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았다.
그의 연구소는 학생들의 수학여행 견학코스가 되었고 연구소에서는 늘 고무신 차림이었기에 '고무신 박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한국에 온 지 9년이 되던 우장춘 박사는 너무나 고된 연구 과제를 밤낮 보낸 탓에 1959년 8월 10일 향년 62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묘소는 수원 농촌진흥청 내에 있으며, 2003년 4월 21일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액(獻額)되어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우장춘 박사의 헌신으로 우리나라의 현대 농업기술이 시작이 되었고, 국민들은 굶주림에서 점차 벗어날 수 있었던 사실을 잊을 수가 없다.
미국의 경제학자 사이먼 쿠츠네츠는 ‘ 농업의 발전 없이는 산진국이 될 수 없다.’ 고 했다. 급속한 산업화 과정에 낮은 식량자급률과 농가소득 향상 등 극복해야 할 농업정책의 대안이 시급한 현실이다.
(윤수근 논설주간)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4년 06월 12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창녕농협 “상호금융예수금 4000억원 달성탑” 수상..
창녕농협(조합장 성이경)은 6월 4일 농협중앙회 경남지역.. 
2024년 재부 창녕군 향우회 정기총회 및 회장 이·취임식 이모..
재부 창녕군 향우회(회장 장진곤)가 지난 6월 8일(토).. 
영산농협조합원 오명주.윤한업부부 농협중앙회 선도농업인 선정 새..
영산농협(조합장 박성기)조합원 오명주 윤한업 부부(천복농.. 
창녕군, ‘제44회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성료..
창녕군(군수 성낙인)은 지난달 30일, 창녕군민체육관에서.. 
칼럼/기고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서창호칼럼]갑진년(甲辰年) 한해를 마무리하며..
다사다난(多事多難)한 갑진년 한해를 마무리 하는 즈음에 푸른 용..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4..
유하 감독의 영화 ‘비열한 거리’의 주인공 김병두(조인성 역)는.. 
[서창호칼럼]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선동정치를 당장 멈춰라..
국민을 무시하고 사당(私黨)화 된 대표적 야당이 정치의 정도(正..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
...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