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인터넷창녕신문 |
| □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경상남도(지사 김경수), 창녕군(군수 한정우)은 천연기념물(제198호)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II급)인 따오기 40마리를 5월 28일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 방사한다고 밝혔다.
□ 따오기는 동요에도 등장할 정도로 친근했지만 1979년 비무장지대(DMZ)에서 마지막으로 관찰된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되었으나, 2008년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우호의 상징으로 중국에서 총 4마리를 들여와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증식 복원에 성공하여 총 384마리를 보유하고 있다.
○ 사다새목 저어새과의 따오기는 논과 같은 습지에서 미꾸라지, 개구리, 고둥, 지렁이, 땅강아지 등 어류, 양서파충류, 곤충 등을 먹이원으로 하고 있으며, 따오기 동요가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우리 주변에서 살던 친숙한 새였으나, 사냥과 농약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되었다. □ 창녕군 소속기관인 ‘우포따오기복원센터’는 지난해 처음으로 따오기 40마리를 자연에 방사하여 관찰한 결과, 25마리는 낙동강과 우포늪 일대에서 건강하게 생존하고 있으며, 13마리는 삵, 담비 등 천적에 의해 폐사하였고, 나머지 2마리는 날개, 부리 등에 부상을 당해 구조 후, 치료를 받고 있다.
□ 이번에 방사하는 따오기는 올해 1월부터 야생 적응훈련을 통해 우수한 개체 40마리를 선정하였으며, 암컷 13마리, 수컷 27마리로, 모두 위치추적기(GPS)와 개체 식별 가락지를 부착하고 있다.
○ 야생 적응훈련은 비행훈련, 사냥훈련, 사회성 훈련, 대인?대물 적응훈련의 5개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으며, 개체간 경쟁과 외부 위협에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야생성을 회복하고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으로 약 5개월간 진행하였다.
○ 특히, ‘우포따오기복원센터’ 관계자 6명은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2월부터 3월까지 비상 합숙 근무를 실시하는 등 따오기 자연 방사 성공을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였다.
□ 또한, 이번 따오기 자연 방사는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인의 참가를 제한하여 관련 업무 담당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차분히 진행하였다.
□ 한정우 창녕군수는 특히 “코로나19에 지친 국민들께 따오기 야생방사가 희망의 메시지로 전달되기를 바라며, 야생으로 돌아간 따오기가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아끼고 보호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부탁했다.
□ 경상남도 관계자는 “올해도 따오기를 성공적으로 방사하여 우리 도의 우수한 자연생태계 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도민의 지속적인 응원을 부탁드리며, 앞으로도 자연과 환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경남으로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