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25:5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화왕산 메아리 82) 논설주간 윤수근

독립운동가 이회영(李會榮)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4월 29일
ⓒ 인터넷창녕신문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5천년 역사에서 936회의 외침을 당하고도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원동력은 국난극복의 위기에서 조국에 헌신한 민족지도자와 민초들이뿌린 피와 땀의 결정체일 것이다.
유비무한(有備無患)의 정신과 국력이 쇠퇴하여 자주성을 잃으면 주변 열강의 침략과 지배를 받는 것은 역사의 증명이다. 우리의 말과 글, 주권을 잃은 한 맺힌 일제 36년, 이회영(李會榮 1867.3.17~1932.11.17)선생은 왕조시대 봉건주의 타파에서부터 항일투쟁까지 전 재산과 가족, 명문가의 명예까지 모두 대한독립에 바쳤던 대표적인 자주 독립운동가 이다. 세계사에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는 높은 신분에 천문학적인 부를 축적한 가문이 전 재산을 조국의 독립을 위해 사용하다 정작 본인들은 굶어 죽는 경우는 찾아볼 수가 없다.
9대가 정승 판서 참판을 지내고, 5번의 좌우 정승과 영의정을 지낸 이항복(白沙 李恒福. 1556~1618) 선생의 후손으로 조선 말 10대 부자 가문의 우당(友堂) 이회영(李會榮)은 전형적인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사회 지도층의 솔선수범)를 실천하였으며 금수저의 기득권을 버리고 지배층으로서 그에 걸맞은 사회적, 도덕적 책무를 실현한 민족지도자요 혁명·사상가이다. 노비의 인격을 존중하여 자립할 수 있도록 가계비를 지원하며 해방시키고 남편 잃은 여동생을 재가(再嫁)시킨 것은 신분타파의 혁신적 모범이었다.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韓日合邦)으로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고 식민지가 되자, 우당 선생과 그의 6형제들은 나라의 국운과 진로에 대해 상의를 하였다. 이 모임에서 그들은 만장일치로 전 재산을 정리하여 조국의 독립을 위해 쓰기로 결심하고 50여명의 가족과 함께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에 전념하던 중 선생의 6형제 중 5형제가 비참하게 순국하였다.
당시 소 1만 3천두, 토지 포함 600억원(실제가치 2조에 해당)전 재산을 헌납하여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를 세웠고 이곳에서 8년간 3,500명의 위대한 독립운동가들을 양성하였다.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은 1920년 김좌진 장군의 청산리 전투에 참가하여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또한 그들을 중심으로 여러 항일 비밀 결사대가 결성되어 일본의 주요시설 폭파와 주요 인물들을 암살하는 한편, 광복군 등으로 활약하여 일본군과 일제경찰의 간담을 얼어붙게 하였다. 또한 선생이 배를 타고 압록강을 건너 만주로 갈 때 그곳의 뱃사공에게 거금을 미리 주며 ‘앞으로 이 강은 역사적인 장소가 될 것이다. 조선의 수많은 청년들이 뜻을 품고 이 강을 건널 때 도와 달라’고 당부했다. 1918년, 이회영 선생과 그의 형제들은 신흥무관학교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며 운영비 고갈로 극심한 가난에 시달리게 되었고 하루에 죽 한 끼조차 먹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우당 선생의 부인 이은숙 여사는 남편의 독립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밤낮으로 바느질 하느라 성한 손가락이 없었다고 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끝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던 선생은 1932년 66세에 밀고자에 의해 일본 경찰에게 붙잡혀 광복을 보지 못하고 모진 고문 끝에 옥중 순국하였다. ‘나는 조선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 나를 더 이상 고통스럽게 하지 말고 빨리 죽여 달라 죽어서라도 조선의 독립을 보리라’는 자주독립의 불타는 의지와 신념은 독립운동사에 빛나는 별이었다.
당시에 매국노 친일파도 있었지만 국가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항일투쟁에 남녀노소 빈부귀천이 따로 없었다. 이회영 일가의 애국심과 세상의 모든 것을 다 받친 숭고하고 거룩한 희생을 잊을 수가 없다.
우당(友堂) 이회영(李會榮) 선생은 전 가족의 목숨과 재산을 항일독립운동에 바친 민족의 귀감이다. ‘친일 후손은 흥하고 독립운동가의 후손은 망한다.’ 는 역설은 이제 우리 사회에서 존재하지 않도록 애국·애족의 가치를 정립할 때이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4월 29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