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31:53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창녕 기음강(岐音江)의 용당(龍堂)

남중희(창녕문화원향토사연구부소장)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16일
ⓒ 인터넷창녕신문

세종11년(1429) 11월 11일 예조에서 전국의 영험한 곳에 제사를 드리는 치제를 건의할 때 영산현 계성의 기음강(岐音江) 용당(龍堂)이 나오는데 이는 양산의 적석용당(赤石龍堂)과 전라도 광주의 병로지용당(幷老只龍堂)과 더불어 전국의 3대 용당으로 영험하다는 곳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기음강(岐音江)은 영산현 서쪽28리에 있고 수령으로 하여금 춘추로 제사를 지내게 하는데 축문에는“가야진 명소지신(伽倻津溟所之神)”라고 칭하고 있다.

그러면 기음강(岐音江)의 가야진명소(伽倻津溟所) 용당(龍堂)은 어디일까?

“고려사”지리지 경상도 영산현 조(條)에는‘이 현(縣)에 온천(釜谷)이 있고, 가야진명소가 있다’고 전하고,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7 경상도 영산현 산천(山川) 조(條)에서 기음강에 대해 설명하기를‘현의 서쪽28리에 있고 창녕현 감물창진의 하류인데, 의령현의 정암진과 합친다. 옛 가야탄(伽倻灘)이라 불렀다’고 하였다.

가야진명소(伽倻津溟所) 용당(龍堂): 창녕군 남지읍 용산리 창날 (추정)

여기서 의령의 정암진은 남강에, 창녕 감물창진은 낙동강에 위치한 나루이므로 기음강(岐音江)은 결국 두 강의 합류지점의 별칭(別稱)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야진명소는 용당(龍堂)을 가리키는 것으로 조선시대에는 기음강용단(岐音江龍壇)이라고 불렀으며, 영산현 수령이 춘추로 치제(致祭)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해동지도”의 영산현 편에 남강과 낙동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기강진(岐江津)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옛 가야탄(伽倻灘)”이라고도 하였다. 즉 남강과 낙동강의 합류지점에 위치한 마을은 창녕군 남지읍 용산리이다. 용산본동이 큰 마을이고, 이밖에 작은 마을로 아곡, 창날, 안골 등이 있다. (전덕재 (慶州大)三國時代 黃山津과 伽倻津에 대한 고찰)

기음진, 즉 가야진은 창날마을에 위치하였다고 전해진다. 근래에는 창나리, 창나루로 불렀고, 이것을 축약하여 현재 창날이라고 부른 것이다. 옛 부터 용의 알, 즉 여의주라고 불린 마을앞 똥뫼(獨山)에 제단이 있어 매년 봄과 가을에 용왕에게 제사를 올렸다고 한다. 가뭄이 들 때면 여기에서 기우제를 지내기도 하였는데, 이곳이 바로 조선시대의 기음강용단(岐音江龍壇), 고려시대의 가야진명소(伽倻津溟所)에 해당한다. 독산(獨山)은 용이 사는 형상이라고 하여 마을이 항상 흥한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결론적으로 가야진(기음진)은 낙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했다. 그곳은 창녕군과 함안군, 의령군 3개 군의 경계점인데, 거기서 배를 타고 남강(岐音江)을 거슬러 올라가면, 함안군과 의령군을 지나고, 더 나아가면 진주에 이른다. 정암진(鼎岩津)에서 내려 육로로 가면, 합천군 삼가면과 합천읍에 다다를 수 있다. 이처럼 가야진이 낙동강 수로의 요지에 해당하였기 때문에 고려와 조선시대에 그 근처에 용당(龍堂)을 건립하고 세곡을 운반하는 선박과 선원의 무사안전을 기원하고 홍수로 인한 범람의 피해를 없게 해달라고 용신(龍神)에게 매년 춘추로 제사를 지냈던 것으로 보인다.


남중희
(창녕문화원향토사연구부소장)
이처럼 역사적으로 유구하고 영험있는 가야진명소(伽倻津溟所)인 기음강용단(岐音江龍壇)을 발굴․복원하고 이 참에 창녕, 함안, 의령 3개 군의 지자체장이 모여 가야진명소(伽倻津溟所)에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치제(致祭)를 올리는 행사를 하게 된다면 남지의 유채축제와 더불어 또 하나의 창녕 관광명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7월 16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