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18:51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코로나’가 들려주는 비밀스런 한 소식

창녕문화원 향토사연구소장 지광 한삼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8월 20일
코로나로 인해 온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이로 말미암아 세계경제가 공황 상태로 빠져 드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IMF는 지난 상반기에, 1930년대 세계 경제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에 빠질 것이라는 전망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2020.8.16.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감염 인구수는 누적 확진자 1,174만여명, 사망자 54만여명에 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5,000여명의 누적 확진자와 30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계속해서 확진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 심히 걱정스럽기 그지없다.
더구나 지난 3월 이후 5개월여 만에 당일 증가수치가 폭발적으로 증가되어 대 유행의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런 저런 얘기들이 많은 가운데 그런대로 잘 극복해 왔다고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우리 창녕의 경우, 행정이 주축이 되어, 전 군민이 사회적 생활 속 거리두기와 제반 수칙을 철저히 지켜 현재까지 9명의 확진자 이후 추가 발생이 없어 참으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 동안 코로나 감염방지를 위해 하루도 쉬지 않고 불철주야 전 행정력을 집주해 주신 모든 공직자와, 방역당국에 동참해서 함께 힘을 모아 노력해 주신 각급기관, 사회단체, 각계 군민들의 애정 어린 협조와 동참에 깊은 감사와 격려를 보냅니다.

필자도 지난 2월 중순 기침증상이 있어 약 10일 이상 집에서 감기약을 복용해 오다 3월초 보건소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긴 했지만, 증상에서 판정 전후 약 한 달 동안 불안에 떨며 우울한 나날을 보내야만 했던 아픈 기억을 떠 올릴 때면 코로나로 인해 상처받는 사람들의 마음고생이 어느 정도인지 가히 짐작이 들곤 한다.

동양 최고의 고전으로 각광받고 있는 주역(周易)에 “일음일양지위도(一陰一陽之謂道)”라는 말이 있다. 세상만사는 밤과 낮처럼 한 번 어두워졌다가 한 번 밝아지고 한 번 밝아


졌다가 한 번 어두워짐을 반복한다는 것이다. “물극필반(物極必反) 기만즉경(器滿則傾)”이란 말과 의미가 상통한다. 사물의 전개가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이 되고 그릇(기득권)도 가득차면 반드시 쏟아진다는 것이 변하지 않는 세상의 이치라는 것이다.

우리는 예나 지금이나 순간순간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무상(無常)’은 이처럼 변함없는 진리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이를 잊고 살아간다. 무상을 허무한 것으로 보면 삶에 좌절해서 생기를 잃지만, 한 생각 돌이키면 매일 매일이 새롭다는 희망의 생기가 되 살아 남을 알 수 있다.

코로나도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사라지기를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 상황이 바뀌기를 기다리기 전에 인간의 노력이 선행돼야 하고, 더불어 내면을 되돌아보는 성찰의 지혜로 스스로의 마음을 닦아 괴로움을 정화시키는 근본적인 처방이 절실하다.

성현들의 말씀이 담긴 고전(古典)의 가르침은 변함없이 가장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난세를 극복하는 지혜’를 전해 주는 희망의 나침반이 되고 있다.

뿌리 깊은 나무는 거센 폭풍우를 만나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끄떡없이 버틴다.
같은 맥락에서 고전(古典)에서는, 눈에 보이는 바깥에서 문제의 해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비록 보이지는 않지만 보이는 것의 근간이 되는 우리 마음의 뿌리, ‘본성(本性)’에서 그 해답을 찾으라고 가르친다. 이름 하여 “마음을 초기화” 시키는 일이다.

‘마음의 초기화’를 영어로는 ‘마인드 리셋 (Mind reset)’이라고 말한다. 컴퓨터나 휴대전화가 작동이 잘 되지 않을 때 잠시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면 처음 사용할 때처럼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다시 말해 처음 마음인 ‘초심(初心)으로 돌아가라’는 뜻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상(사람, 사물, 사건)을 보거나 듣거나 접촉하거나 느끼거나 할 때 그 대상에만 생각이 머물 뿐, 그 이면에 그 대상을 바라보는 자기마음(本心)이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다. 이걸 ‘어리석음(無明)’이라 한다.

예를 들면, 꽃(대상)을 보고 “그 꽃이 예쁘다”. “그 꽃이 참 아름답다”라고 할 때, 대상인 그 꽃만 생각하지 그 꽃을 바라보는 자기마음은 안중에도 없다.

꽃이 예쁘고 꽃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실상(實相)은 그 꽃을 바라보고 있는 자기마음이 예쁘고 자기마음이 아름다운 것이다. 그래서 “꽃 보다 사람이 아름답다”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이게 바로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인 실상(實相)을 보는 것이다. 이게 “깨달음”이고, 이게 “수처작주(隨處作主)/입처개진(立處皆眞)”의 진리(眞理)다.

대상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을 보는 자기마음을 보는 것, 그것이 자기 성품을 보는 것이며, “마음(생각)의 노예가 되지 말고 마음(본심)의 주인이 돼라”는 뜻이다. 이것이 바로 마음을 안으로 돌이키는 ‘섭심반조(攝心返照)’다. 섭심반조가 바로 ‘초심으로 돌아가는 길’이며 ‘마음을 초기화’ 하는 것이다. 초기화하면 근심 걱정이 사라진다.

‘코로나’라는 바이러스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이기심이 불러온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어두운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어둠을 없애는 가장 쉬운 방법은 어둠과 싸워서 될 문제가 아니라 밝은 마음의 빛을 쪼여주면 저절로 없어진다. 이게 난세를 극복해 가는 역발상(逆發想)의 지혜다,

돌맹이 하나를 개(犬)를 향해 던지면 그 개는 그 돌맹이를 따라 간다, 그러나 사자에게 던진다면 사자는 그 돌을 던진 사람에게 달려든다. 문제는 대상을 쫒아가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 근본(뿌리)을 파고들어야 함(방향성)을 보여주는 좋은 비유라고 볼 수 있다.

사람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다. 대면 접촉의 ‘컨택(Contact)시대’가 불가피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비접촉의 ‘언택(Untact}’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하지만 ‘온택(Ontact}’이라는 기존의 ‘온라인(On Line)’이라는 소통의 메신저가 있는 만큼, 몸은 떨어져도 마음은 항상 가까이 소통하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지혜가 절실한 시점이다.

“窮卽變(궁즉변) 變卽通(변즉통) 通卽久(통즉구)”라 했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게 되며, 통하면 오래간다.”

코로나와의 만남도 하나의 인연이다.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으므로 이것이 있다. 이것이 생겨남으로 저것이 생겨나고 저것이 생김으로 이것이 생긴다.

코로나가 들려주는 비밀스런 한 소식,
“나(코로나)를 쳐다보지 말고, 그대 마음을 꿰뚫어 보라!”
ⓒ 인터넷창녕신문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08월 20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