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10:34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낙동강의 역사 - 남중희(창녕문화원향토사연구 부소장)

황산강(黃山江)의 금관가야(伽倻)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12월 07일
ⓒ 인터넷창녕신문
낙동강(洛東江)이라는 이름은 원래 상주의 옛 지명인 낙양(洛陽),?상낙(上洛)의 동쪽을 흐르는 강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혹자는 낙동강(洛東江)의 낙동(洛東)이 가야의 터전이었던 김해,?함안,?고령,?함창 등?낙동강의 서쪽 지역에 가야가 있어서?가락(駕洛 가야)의 동쪽이라는 의미로 낙동강(洛東江)이라고 부른다는 설도 있다.

「세종실록지리지」,「신증동국여지승람」,「연려실기술 별집」등을 보면?가야의 주 근거지인 김해와 양산지역에서는 낙동강(洛東江)을 낙동강으로 부르지 않고 황산강(黃山江)?또는 가야진(伽倻津)이라고 부른다.

임경대에서 바라본 황산강(낙동강)
황산강이 품은 첫 번째 나라는 가야였다. 황산강은 삼랑진에서 무척산을 휘돌아 원동에 이르고 임경대를 거쳐 신어산 자락을 우회하면서 물금을 지나 서쪽은 대동수문(大東水門)을 거쳐 바다로 흘러들고,?본류는 남하하여 부산 명호도(鳴湖島)와 사하구 하단동 사이 하구갑문을 지나 남해로 흘러들면서 서강과 만나는 형국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 “개벽(開闢) 후 이 땅에는 나라의 호칭이 없었고 군신(君臣)의 칭호도 역시 없었는데, 이때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 9간이 장(酋長)으로서 백성을 다스렸으니 모두 100호(戶) 7만 5000명이었다. 산야에 도읍하고 우물을 파마시고 농사를 지어 먹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일찍 부국가의 틀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착세력에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의 세력을 빼어낸 것은 후한의 세조 광무제, 건모 18년 4월, 서력 42년이다. 가락국기는 이렇게 전하고 있다.“북쪽에 위치한 구지봉에서 누군가를 부르는 인기척이 들렸다.”무리 3백명이 구지봉으로 몰려드니 형체는 없고 소리만 내어 말하였다.“여기에 사람이 있느냐 없느냐” 구관들이 대답했다.“우리들이 있습니다”사람소리가 말했다.‘내가 있는 이 곳을 무엇이라 하느냐?”구관들이 대답했다. “구지봉이라 합니다”그러자 다시 소리가 들려왔다.“하느님께서 내게 명하기를 임금이 되어 이곳을 다스려 나라를 새롭게 하라 이르셨다. 너희들은 이제부터 마땅히 땅을 파며 이렇게 노래를 불러라”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내밀지 않으면 구워먹으리라 잠시 후 머리를 들어보니 자줏빛 끈이 하늘로부터 드리워져 끈이 닿은 곳을 찾아보니 붉은 보자기에 쌓인 금빛 상자에는 둥근 황금알 6개가 있었다. 모두들 놀라 기뻐하며 함께 100번 절을 했다. 알에서 태어난 동자는 10여 일이 지나자 신장이 9척이 되었고, 그달 보름에 왕위에 올랐는데 처음으로 나왔으므로 이름을 수로라 하고 나라 이름을 대가라 혹은 가야국이라 일컬었다. 수로왕은 신답평(新沓坪)에 행차하여 사방의 산악을 바라보고는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이곳은 협소하기가 마치 요엽(蓼葉)과 같다. 그러나 빼어나게 아름다워 16나한(羅漢)이 머물 만한 곳이다. 며 도읍을 정하였다.
1991년 2월 9일 대성동 제29호 고분에서 출토된 오르도스 형 청동 솥(동복)과 말을 탈 때 바람에 흩날리는 옷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허리에 찼던 호랑이 모양의 허리띠인 호형대구가 출토됨으로서 이 곳에 나라를 세운 이들은 오르도스 즉 내몽고에서 말을 타고 유목생활을 하는 기마민족과 맥이 닿아 있었던 것이다. 고조선지역에 있던 유목민족들이 부여를 거쳐 한반도 끝자락에 정착해 있던 세력들과 규합하여 가야를 건국하게 되었고 이 들은 황산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가야의 연합체를 구성하게 된 것이다.
금관가야는 철 생산을 기반으로 아유타국의 허황옥과 국제결혼을 하는 등 번성기를 누리다가 AD400년 (광개토대왕 10년) 고구려의 신라를 구원하는 전투를 치른 후에 쇠락의 길을 걷다가 AD 532년(법흥왕19년) 신라에 복속되었다. 수로왕이 즉위한 서기42년 (동한 東漢 건무18년)부터 구형왕까지를 계산하면 존속기간이 490년이 된다. 말하자면 낙동강이 품었던 첫 번째 왕국이자 낙동강 수로를 이용하여 500여년 간 번성한 국가 금관가야(伽倻)이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0년 12월 07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