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08:4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창녕신문 창간 21주년을 축하하며

-언론의 역할을 생각하다-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2년 07월 15일
장마가 물러나자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다. 봄에 심은 채소가 비에 쓸려가지 않았는지 조바심을 내며 텃밭으로 향했다. 고추와 상추, 가지 등 푸성귀들은 자취를 감추고 억센 잡초가 대신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풀을 걷어내고 그늘에 앉아 매미가 들려주는 노래를 들으며 땀을 식혔다. 매미의 구성진 연주가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시냇물이 흐르는 나무 그늘에 자리 깔고 누워 매미의 합창을 들으며 놀았던 친구들이 문득 보고파진다.

매미는 습하고 어두운 땅속에서 7년을 유충으로 지내다, 어미가 살던 이름 모를 나무에 매달려 이슬과 수액으로 생을 부지한다. 욕심이 없어 집도 짓지 않고 한 열흘가량 짧게 살다가 자연으로 돌아간다. 노래도 때와 장소를 가려서 부른다. 죽어서는 자신의 먹이가 되어 준 나무 아래 묻혀 거름이 된다. 선현들은 신의(信義)와 염치(廉恥)를 알고 덕(德)이 있는 곤충이라며 함부로 잡지 못하게 했다.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게, 마치 우리의 삶과 비슷하지만, 사뭇 다르다. 한갓 미물(微物)에 불과한 매미마저 우리에게 깨우침을 준다.

과거에는 언론이 무관의 제왕으로 군림하던 시절이 있었다. 당시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에 이어, 언론을 제4부라 지칭하고 기자를 무관(無官)의 제왕이라 부르기도 했다. 전제군주 정권과 일제강점기 치하에서 억압받다가 해방되고 민주 정부가 수립되자, 언론의 중요성과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생겨난 말이다. 그때는 동아, 조선 등 일부 신문만 있던 시절이라 기자의 영향력이 막강해 무소불위를 휘두르기도 했다. 방임(放任)과 특권이 난무하고 힘센 사람이 큰소리치던 과도기의 아픈 추억을 굳이 들춰낼 건 없지만, 이해를 도우려 언급했다.

요즘 우리는 다매체 다채널시대에 살고 있다. 심지어 1인 미디어까지 범람해, 그야말로 정보의 바다에 빠져 있다. 게다가 언론 종사자들도 많아, 사명의식을 가진 전문직이라기보다는 일반 직장인에 가깝다. 매일 다양한 볼거리와 뉴스가 봇물 터지듯 치솟아 오르지만 볼 게 없다는 게 중론이다. 언론사별 개성이나 특징도 없이 천편일률(千編一律)적이다. 우후죽순처럼 발행되는 유사지로 인해 뉴스의 질은 떨어져 하향 평준화되고, 한정된 광고 파이는 더욱 잘게 쪼개야 한다. 하지만 이를 원망하는 곳은 없다. 남 탓하기 좋아하는 호사가(好事家)나 정치인들은 제반 책임을 언론에 돌리고, 심지어 뒤집어씌우기까지 한다. ‘내로남불’의 전형을 보는 듯해서 씁쓸하고 안타깝다.

언론은 자유를 기반으로 한, 공공의 도구로 건전한 여론 형성과 공공복리 증진 및 문화 창달에 앞장서고 사회적 책임을 진다. 그 이행 조건으로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을 보장받는다. 기자는 양심과 윤리강령에 따라 취재하고 자기가 쓴 기사에 책임을 진다. 따라서 보도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발로 뛰고 눈으로 확인한 뒤 기사를 쓰려고 노력한다. 추측성 기사나 소설이나 글짓기 하듯 해선 안 된다. 취재원 보호도 중요하며, 상대가 있을 경우는 그쪽 입장도 반영해야 한다. 특히, 특정 개인이나 단체, 기관의 회유와 압력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 기자는 공익과 신뢰, 사명감으로 일하고 명예를 목숨처럼 여겨야 한다. 독자는 기자보다 현안파악을 더 잘하지만 이를 지켜볼 뿐이다. 따라서 취재에 더욱 진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지역 언론도 마찬가지다.
우리 고장에도 지역을 대변하는 향토신문들이 있다. 군청기자실에는 일간지 와 지역신문 기자가 동시에 출입하고 있어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그들은 단체장의 동정과 지역 현안을 주로 챙긴다. 선출직 공무원은 지역과 지역민을 위해 일하며, 기자는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취재한다. 중앙정부나 지자체 행정 책임자들은 언론과 가깝게 지내려고 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친소관계를 유지하거나 소원(疏遠)해선 안 된다.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의 관계를 유지하는 게 서로를 위해 바람직하다.

얼마 전, 민선 8기가 출범했다. “창녕을 새롭게, 군민을 신나게”라는 지표를 내걸고 공정과 혁신을 바탕으로 한, 새 군수가 취임해 업무를 시작했다. 그의 당찬 포부와 각오로 봐서 일 잘하는 군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누구나 취임 초기는 유권자와 언론 등이 초보운전자에게 길을 양보하듯 참고 기다려 준다. 소위 허니문 기간이다. 이때는 경쟁 관계에 있는 정당에서조차도 지켜본다. 지역 언론도 그럴 것이다. 건전한 지적과 충고는 향토발전의 견인차가 될 것이고, 격려와 배려는 당선인에게 용기와 자신감을 심어줄 것이다.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오직 군민의 눈과 귀가 되어 쉼 없이 달려온 지역의 대표 언론, 창녕신문사의 창사 21주년을 축하하며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바란다.
 
↑↑ 김영일 수필가, 언론인, 부산시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장
ⓒ 인터넷창녕신문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2년 07월 15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