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UPDATE : 2025-05-03 09:23:56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칼럼/기고

<화왕산 메아리 101> 독일 총리 메르켈의 리더십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4년 01월 31일

↑↑ 논설주간 윤수근
ⓒ 인터넷창녕신문


오는 4월 10일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이다. 여·야는 유권자인 국민의 표심 잡기에 혈안이 되고, 지역구 예비후보자들의 선거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정치개혁 국회의원 정수 줄이기와 특권·특혜 내려놓기가 이번 총선 결과에 따라 실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300명으로 1인당 연간 1억 5천만원의 연봉과 9명의 비서관 급료 등 5억여 원의 국민세금과 비행기, 열차 승차, 병원치료, 사무실 제공, 면책·불체포 특권 등 186종의 특혜를 누리고 있다.
특권폐지국민운동본부는 세계 유례가 없는 ‘국회의원이 누리는 특권·특혜를 정치개혁을 위해 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의 대표로 헌신 봉사해야 할 국회의원은 민중의 지팡이로 스스로 특권·특혜를 내려놓아야 한다. 유럽의 국회의원은 2-3명이 의원실·비서관도 공동으로 두고 낮은 자세로 민초들의 민원과 소외계층의 아픔을 찾아 입법 활동을 전개한다.
18년간 총리로 독일을 세계 일류 강대국으로 만든 여장부 앙겔라 메르켈(Angela Merkel)은 독일 경제의 고도성장을 이끌며 유럽연합의 주도권까지 잡은 포용의 리더십과 정치 철학은 귀감이 되고 있다. 메르켈은 1954년 함부르크에서 목사의 아버지와 영어교사 어머니 사이에 장녀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기독교의 사랑과 박애 정신이 바탕이었다. 대학에서 수석 졸업한 물리학을 전공한 박사로 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면서 동독에서 서독으로 이주한 메르켈은 그때부터 정치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메르켈리즘은 2005년 이후 독일의 총리로 재임 중인 앙겔라 메르켈의 리더십을 가리키는 용어로 '메르켈리즘'의 요체는 중용과 경청, 타협과 협상, 배려와 포용이었다. ‘권력을 과시하지 않고, 부드럽게 다른 의견을 포용하면서도 힘있게 정책을 펴는 리더십’이라 정의한다. 극단적 자본주의를 경계하고, 구성원들 간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갈등을 조정하여 합의를 이끌어내는 방식을 추구한다. 이처럼 소통과 화합을 강조하기에 ‘엄마의(Mutti, 무티) 리더십’이라 불리기도 한다.
과학자 출신인 앙겔라 메르켈(Angela Merkel)은 2005년에 독일 8대 총리에 선출된 뒤, 2013년 3선 총리가 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여성 중 한 명으로 당 대표를 8번, 진보·보수 연립정부 수립을 2번이나 성공시킬 만큼 포용의 정치를 보여 왔다.
메르켈은 총리 업무가 끝나면 보통 시민으로 슈퍼마켓에서 직접 장을 보고 집에서 요리하는 등 검소하고 소탈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18년 동안 능력, 수완, 헌신 및 성실함으로 통치하는 동안 단 한 건의 위반과 비리도 없었고, 친인척을 등용하지 않고, 새로운 패션으로 사치하거나 옷을 갈아입지 않아 공직자의 윤리관과 청렴도가 확고하였다.
반면 정책 수행과 대외 정책에서는 과감함과 결단, 특유의 뚝심을 발휘해왔다. 그리스의 구제금융 협상을 극적으로 이끌어내고 그리스 정부에 강도 높은 긴축재정을 요구했으며, 이란 핵협상 타결과 난민 문제의 적극적 해결 등 메르켈은 실질적인 유럽의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미국의 경제지인 <포브스(Forbes)>에서는 2006년 이후 9번이나 메르켈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성 1위’로 선정했고, 2015년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Time)>은 그녀를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놀라운 지도력을 발휘하여 독일 경제를 부흥시키고 유럽을 리드한 메르켈 총리의 포용의 리더십과 근면 성실한 삶을 우리 정치인들도 본받아 국민이 신뢰하는 꿈과 희망의 정치로 대한민국을 재건하기를 소망한다.
(논설주간 윤수근)
창녕신문 기자 / cnilbo@hanmail.net입력 : 2024년 01월 31일
- Copyrights ⓒ창녕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제/사회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
산불 희생자 지원 성금 기탁자•경남농협창녕향우회 고향사랑 기부금 400만원•창녕군(재)강산문화연구원 500만원•사)대한노인회 1천650만원•계성면..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 이주은 선수 국가대표 선발..
창녕군청 여자자전거선수단(단장 최영호 부군수) 소속 이주.. 
창녕군, 이방 안리마을 청년 외식 창업공간 오픈..
창녕군은 ㈜더본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농촌지역 경제 활성.. 
고향 창녕이 힘들때마다 어김없이 도움 손길 내민 김태명 리베라 ..
지난 20여년간 55억원이 넘는 돈을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창녕군, 35기 노인대학 개강식 열려..
창녕군은 지난 7일 창녕노인복지회관에서 (사)대한노인회 .. 
대합면 이복아 어르신, 어려운 이웃 위해 성금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지난 11일 대합면 도개마을 이복아(85.. 
넥센타이어 창녕공장, 대합면에 전기장판 기탁..
창녕군 대합면은 넥센타이어 창녕공장에서 100만 원 상당.. 
리베라관광개발 회장 김태명 제 59회 납세자의 날 산업포장 수훈..
부동산 개발업과 호텔업, 연회컨벤션을 전문으로 하는 리베.. 
2025년 재경창녕군향우회 열다..
그리운 고향 언제나 가슴에 남는다재경창녕군향우회 (회장 .. 
대동상회 박순구 대표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장학금 기탁 ..
창녕군은 지난 30일, 박순구 대동상회 대표가 (재)창녕.. 
제44회 전국장애인체전 해단식..
창녕군장애인체육회가 ‘제44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서 금.. 
창녕군 우포따오기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
창녕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우포따오.. 
김보순 창녕군친환경농업협회장, 13년의 친환경 농업 결실 맺다..
경남 창녕군 부곡면에서 무려 13년 동안 묵묵히 친환경 .. 
㈜창녕신문은 법무법인 “사이”와 MOU체결..
㈜창녕신문은 지난 8월 21일 유영숙 대표와 법무법인 사.. 
함양 愛 반하고! 산삼 愛 빠지다’ 제19회 함양산삼축제 10월..
지리산 함양에서 펼쳐지는 건강 항노화 축제 ‘제19회 함.. 
창녕군, ‘2024년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황리에 개최..
창녕군여성단체협의회(회장 정정순)는 지난 29일, 창녕문.. 
창녕 출향인 최원영(66세) 전 보건복지부 차관, 건강보험분쟁조..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5일 신임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위원장(제4대)에 최원영 전 보건복지부 차관이 임명됐다고 밝혔다.건강보험분쟁조정.. 
국내 마늘 최대 생산지 창녕, 햇마늘 초매식..
창녕군은 지난 1일, 관내 5개 농협(창녕·남지·우포·이..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 5월 월례회 친환경생태도..
(사)한국지역신문협회 경남지역신문협의회(회장 최경인·주간.. 
칼럼/기고
[기획취재] 창녕 따오기야 더 힘차게 더 멀리 날아다오...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소리 처량한 소..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2..
헬스장에 근무하는 트레이너는 건강관리와 체력 증진을 지원하는 전.. 
[박대겸칼럼]소방공무원 재난사고와 창녕 낙동강 유채 축제 연기 및 축소의 의미..
지난달 23일 지리산 산청군 산불 진화 과정에서 창녕군 공무원과..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1..
계약은일상생활뿐 아니라 기업 활동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체결되는 .. 
[박대겸칼럼]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며..
4차 산업혁명 시대, 창녕 남지 낙동강 유채축제의 세계화를 꿈꾸..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10..
생활속의 법률상식 시리즈(10)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9..
“성희롱”이란업무, 고용, 그 밖의 관계에서 국가기관·지방자치단.. 
[창녕문화원장 한삼윤]정해져 있지 않은 법[무유정법(無有定法)]..
정해져 있지 않은 법 [무유정법(無有定法)] ‘무유정법(無.. 
[박대겸 칼럼] 『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Ⅱ』..
4차 산업혁명의 시대, 노년층들도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변화에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8..
형법은 제33장에서 명예에 관한 죄를 규정하면서, 명예훼손과 모.. 
박대겸교수칼럼『4차 산업혁명과 AI 정보화 시대에 대한 이해』..
AI 시대:AI (인공지능) 시대는 AI 기술이 인간의 지능을 ..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7..
모든 국민은 표현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이는 절대적·무제한적인.. 
(화왕산 메아리 104) 구국(救國)의 영웅시대..
한 국가의 존망(存亡) 위기에 시대의 영웅이 탄생한다. 조선시대..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6..
2000년대 초반 이후로는 잘 설치하지 않지만, 과거 설치된 엘.. 
[법무법인 사이 변호사 김형진]생활속의 법률상식5..
형사합의금은 얼마로 정하면적정할까.사실 정답은 없다. 형사합의금.. 
등록번호 : 경남 아02330 / 등록일자 : 2016.01.27 /제호: 창녕신문 /명칭: 인터넷신문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종로 38-5 / 발행인 : 유영숙 / 편집인 : 유영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유영숙
등록일자 : 2016.01.27 / 발행일자: 2016.1.27 / mail: cnilbo@hanmail.net / Tel: 055)533-6709, 055)533-0207 / Fax : 055)533-3345
Copyright ⓒ 창녕신문 All Rights Reserved.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